-
5.17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IDAHO) 맞이 제주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의 기자회견문제주퀴어문화축제 2018. 5. 17. 17:40
국제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IDAHO) 맞이 기자회견문
작년 가을, 안개비처럼 우리를 적셔가던 혐오를 향해 한줄기 빛이 등장했다. 이 빛은 피할 수 없는 안개비를 맞으며 잔뜩 웅크린 채 숨어있던 도내 성소수자들에게 약간의 따스함과 위로를 건네었다. 그리고 평화의 섬 제주에 무지개를 피워 제주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비추었다.
제주도는 명문화 된 인권보장 및 증진에 관한 조례를 통해 2015년부터 모든 도민의 인권을 위해 도정이 힘쓸 것을 선포하였다. 인권의 섬 제주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그러나 작년 제주퀴어문화제를 통해 우리는 도의 인권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도가 규정하는 도민이란 어떤 존재인지를 알 수 있었다. 인권의 섬 제주의 ‘인간’에는 성소수자가 없었다. 작년 가을 내내 성소수자는 존재 자체만으로 민원의 대상이었고, 누구나 열 수 있는 축제를 마음대로 열 자유조차 갖지 못했다. 똑같은 음악을 틀고 똑같은 춤을 추어도 성소수자가 주최가 된다면, 그 축제는 ‘음란’하고 ‘비교육적’이며 ‘문란’한 축제가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제주의 퀴어들이 맞이하는 아이다호는 분명 색다를 것이다. 그렇기에 제주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는 새로운 도정을 맞이하는 이 순간에 묻지 않을 수가 없었다. 당신들에게 우리는 ‘인간’인가? 우리의 축제는 도민의 축제가 될 수 있는가? 우리는 비성소수자와 같이 생활함에 있어 제도적으로, 실질적으로 차별받지 않을 수 있는가?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을 맞이하며, 새로운 제주도정을 이끌 사람들을 맞이하며 제주의 퀴어는 묻는다. 우리는 언제까지 톧아져야 하는가.
지난 레즈비언 가시화의 날은 성소수자 인권활동가 고(故)육우당의 기일이었다. 이 날, 제주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는 도의원 비례대표를 낸 정당과 각 당의 도지사 후보, 교육감 후보 등에게 질의서를 보낸 바 있다. 성소수자인 우리는 과연 도민인가, 성소수자를 공동체 구성원으로 인지하는 정책을 낼 의향이 있는가를 묻는 질의서였다. 더불어 작년 제주 퀴어문화축제에서 도정과 보수 개신교 세력이 보였던 지나친 혐오의 행태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의도 하였다. 이에 단 두 정당과 한 도지사후보만이 회신을 해왔다. 녹색당, 정의당, 도지사후보 고은영이었다. 이외의 정당과 도지사후보, 교육감후보들은 응답하지 않았다. 우리의 물음에 기존의 정당은 답할 필요가 있다. 질의 내용은 단순히 성소수자의 이권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제주도 더 나아가 대한민국 인권의 현주소에 대한 물음이다. 도민으로서의 성소수자가 안전하게 살아 갈 권리, 차별 받지 않을 권리, 인간답게 살 권리를 주장하는 것에 대하여 각 정당들은 어떤 입장인지 명확히 밝혀야 한다. 군형법 92의 6에 의거 A대위가 유죄 판결을 받던 그 날, 대만에서 동성혼이 법제화 되었다. 이로써 대만은 아시아 그 어느 국가보다 사람이 사람다울 수 있는 곳이 되었다. 각 정당에 다시 묻는다. 당신들의 ‘도민’에 성소수자는 존재하는가? 우리의 이야기를 반영한 정책을 전면에 내세울 수 있는가?
성소수자는 어디에나 있다. 일터에도, 공원에도, 마트에도, 사람이 있는 그 어느 곳이든 있다. 비성소수자와 같이 땀 흘려 일하고 같은 지방세를 낸다. 도의원과 도지사는 성소수자가 내는 지방세의 녹을 먹는 자들이다. 성소수자가 낸 지방세로 정책을 만들고 집행한다. 단 한 푼이라도 지방세가 지출 된다면, 이는 성소수자들의 노동의 결실이 지출되는 것이다. 각 정당과 도지사 후보는 이를 잊지 않아야 한다. 도민으로서 안전할 권리, 차별 받지 않을 권리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이 정당하다면 성소수자로서 안전할 권리, 차별 받지 않을 권리에 대한 주장이 정당하지 않아야 할 이유는 없다. 더군다나 올해는 4.3항쟁이 일어난 지 70주년 되는 해이기도 하다. 기득권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도민들이 학살당했던 그 아픔의 땅 위에서 다시 한 번 정권의 유지를 위하여 도민이 희생당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성소수자가 도민으로서 묻는다. 도내 정당들은 답하라.
성소수자는 어디에나 있다. 학교에도 있다.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성소수자일 수도 있지만, 학생이 성소수자일 수도 있다. 자신이 남들과 다름에 대해 가장 민감한 시기인 청소년 성소수자들은 어디에도 기댈 곳이 없다. 그렇기에 학교 환경, 교육환경이 성소수자를 어떻게 바라보고 이야기하는지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교육감 후보들의 답변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단 한 후보도 답이 오지 않았다. 청소년 성소수자들은 언제든 돌아올 수 있는 한 철 반항이기 때문인가? 아니면, 제주도의 순수한 청소년 중에는 성소수자가 없기 때문인가? 고정관념과 잘못된 정보로 점철된 성의식을 바탕에 두고 사고하는 것이 아니라면, 속히 답변하기 바란다. 서울 외의 전국 그 어느 곳에도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한 쉼터 하나 없다. 이런 때에 청소년 성소수자를 주변으로 내몰지 않는 학교 분위기를 이끌어내어 ‘인권의 도시’로서의 제주에 일조하는 교육감이 있기를 부디 바란다.
'제주퀴어문화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퀴어문화축제 공식 티셔츠 사전판매 (0) 2018.08.24 제주도지사후보 토론회에 대한 제주퀴어문화축제의 입장 (0) 2018.05.21 IDAHO(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위원회 브로슈어, 포스터 한국어 번역물 (0) 2018.05.12 레즈비언 가시화의 날 및 故육우당 15주기 성명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소수자 정책 공개 질의 (0) 2018.04.26 Thank you for Jeju V-Day 2018 (0) 2018.04.12